사인

[#1-1] PROJECT. ALBION

[#1-1] PROJECT. ALBION

나의 첫 번째 포트폴리오이자, 오픈월드 레벨디자인 스터디로써 프로젝트 알비온을 진행한다. 해당 작업은 Google Earth를 통하여 현실의 요소를 활용하는 것을 배경으로 한다. 오픈월드의 전체적인 윤곽을 잡고, 특정 도시를 상세한 지역(POI) 설정에 있어서 한번 더 입히는 등의 과정을 거친다.

내가 선택한 오픈월드의 전체적인 윤곽은 영국 및 아일랜드 전역이었고, “PROJECT. ALBION(이하 알비온)”은 이 지역의 오래된 시적인 명칭에서 착안했다. 나는 이 지역을 임의로 변형 및 압축하여 레벨 디자인 하고자 한다.

이는 향후 슈팅 기반의 오픈월드·배틀로얄 맵으로 활용될 것을 기대하며 스코틀랜드의 고저차, 아일랜드의 병목 지점, 잉글랜드의 고밀도 시가지 등의 대비되는 전투 환경을 하나의 맵에 통합하여 표현하고자 한다. 이로써 플레이어는 한 가지 맵에서 다양한 플레이를 경험할 수 있는 것을 의도한다.

활용하고자 선정한 영역을 캡처하여 Paint.NET 로 옮겨서 붙여넣고 1차 작업을 진행한다. 이때 캔버스 크기는 향후 작업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정사각형의 볼륨으로 설정한다.

더하여 흑백으로 변환시켜 향후 내가 작업할 포인트가 잘 나타나도록 만들고, 정사각형 볼륨을 채우는 오픈월드를 레벨 디자인하고자 하는 의도에 맞추어 정방향으로만 확대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 및 부분 확대 등의 변형 과정을 거친다. 경계가 무너지거나 색상이 없어 시각적으로 구분이 어려운 부분은 브러시 툴을 활용하여 그려준다.

앞서 언급하지 않았지만, 이 프로젝트의 스케일은 4×4의 맵으로 생각하고 있다. 향후에 본격적으로 Unreal Engine 5에서 작업을 진행할 때 스케일이 변할 것도 고려해야 하지만, 우선은 4×4 스케일로 맵을 설계한다. 이에 배틀로얄 장르의《배틀그라운드》내 구현된 사녹을 짧게나마 분석하고자 한다.

PUBG STUDIOS의 사녹에 대한 시나리오는 이렇다. “사녹은 작지만 아이템이 풍부하고 다수의 생존자들이 근거리에 밀집해있기 때문에 빠르고 정신없는 교전이 펼쳐집니다. 울창한 열대 정글로 이루어진 사녹에서 그 유명한 ‘사녹 테이프’가 탄생했습니다. 사녹 4인이라 불리게 된 4명의 전투원들의 탈출 장면을 포착한 테이프입니다”

개발사에서 제시하는 주요 POI로 선정된 곳은 위 이미지에 표시된 것과 같이 총 4군데이다. 이 가운데 Cave가 포함된 것을 보아하니, 단순 교전의 장소를 넘어서 플레이어의 공간 경험의 다양성에서 선정된 것도 있다고 느꼈다.

나는 우선 PUBG의 대표적인 4×4 맵인 사녹을 분석하여, 각 도시(랜드마크) 간의 대략적인 거리와 스케일을 어느정도 구분하고자 한다. 이에 대형·중형·소형으로 나누었으며 주관적인 플레이 경험과 객관적으로 보여지는 스케일을 기준으로 한다. 이때 도시(랜드마크)라고 함은 통일된 기준으로써 지역명이 붙은 곳을 활용하여, Bhan과 Monghai와 같이 다소 애매한 성격의 공간도 포함한다.

나는 위 이미지와 같이 몇가지 마킹을 하고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이때 각 랜드마크 간 거리는 인접 랜드마크를 거쳐서 다음 랜드마크를 갈 수 있는 거미줄 형태로 나타냈지만, 사실은 보통 정해진 동선 없이 전략적으로 플레이어의 기동이 가능한 점을 감안하여 설계에 참고하고자 분석한다.

대형(2) Bootcamp, Paradise // 중형(10) Ruins, Pai Nan, Ha Thin, Camp- 등 // 소형(9) Docks, Tat Mok 등으로 분류되고, 랜드마크 간의 거리는 300m로 나타난다. 이때 스케일 분류는 크고 작은 랜드마크로만 구분하고자 하니, 애매한 중간값을 대형과 소형으로 반반 나눈 1:2 비율로 나의 “알비온”에 적용하고자 한다.

“알비온”의 모티브였던 아일랜드와 영국 전역을 참고하면서 주요 랜드마크의 위치를 하나씩 마킹하고, 향후 랜드마크를 구현하는데 참고할 이미지를 별도로 저장한다. 그리고 마킹한 랜드마크 간의 거리 동선도 대략적으로 거미줄 형상으로 표현한다. 이때 동선이 해상 위를 지나는 경우에는 다리를 건설할 것을 고려한다.

이로써 [#1-1] PROJECT. ALBION 은 마치도록 하고, 다음 작업에서는 기반 지형을 Unreal Engine 5를 활용하여 3D 시각화 하고 각 주요 도시에 대한 성격과 특징을 정의하는 것을 우선으로 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